본문 바로가기
돌봄전담사 마스터하기

에듀파인 정복기 7 - 기안문 작성하기Ⅱ(본문 작성)

by 야너두투 2022. 10. 5.

안녕하세요~

기안문 작성하기I(결재정보 입력)은 잘 되셨나요. [결재정보 입력]이 어려 우신 분들은 이전 글 보시고 찬찬히 따라 해 보세요.

[돌봄전담사 마스터하기] - 에듀파인 정복기 6 - 기안문 작성하기I(결재정보 입력)

 

오늘은 step 2!!  기안문의 [본문작성]을 해보겠습니다.

본문 작성에 앞서, 우리가 작성하는 에듀파인 문서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볼까요. 저는 공문을 작성을 할 때 내가 작성할 문서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생각합니다. 왜 이 공문을 작성하는지, 이 문서를 남기는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말입니다.

 

 

공문이란?

공문은 공공기관에서 작성된 문서로 공식적으로 기록·관리되고, 아울러 국민 모두 열람할 수 있는 문서입니다. 공문을 통해 우리가 하는 일의 근거를 남기고, 기록할 수 있으며, 국민은 공문을 보고 기관의 사업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공문 작성 이유를 생각하면, 제목이나 내용 작성 시 방향을 잡을 때 도움이 됩니다.

 

기안문이란?

더욱이 공문은 기안문의 형식을 띱니다. 기안문이란 어떤 사항을 보고하고 결재권자의 의사결정을 요청하는 문서를 말합니다. 돌봄교실의 경우 예를 들자면, '가정통신문을 이러 이러한 내용을 발송하고자 합니다. 발송해도 될까요?' 또는 ' 돌봄교실 학생 대상으로 간식 수요조사를 실시하려고 합니다. 실시해도 될까요?" 하고 결재권자의 생각과 경험을 빌려 의견을 구하는 행위입니다.  저는 기안문 올리는 게 좋습니다. 제가 하는 행위에 대해 컨펌도 받을 수 있고, 대외적인 문서 발송 전에 검토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 그리고... 연대책임이 되니까요... 으흐흐흐흐

 

공문에 대한 생각의 기준을 잡으셨다면, 문서를 작성해 볼까요?

에듀파인에서 새 문서 또는 임시저장 중인 문서를 열어주세요. (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 확인요!)

 


① [본문] 탭 클릭!

② [제목]: [결재정보] 탭 에서 입력한 제목이 뜹니다. [본문]에서도 수정 가능합니다.

③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. 

    - [관련]은 본 기안문을 작성하는 근거가 되는 공문서의 등록번호와 날짜를 입력해주세요.

    - [붙임]은 첨부문서명과 똑같이 작성합니다.

④~⑥ [첨부문서]: 첨부문서가 있는 경우 [파일 추가]를 클릭해서 문서를 첨부해주시고, 첨부문서의 공개/ 비공개 여부를 선택해주세요. 첨부문서의 공개/ 비공개 여부에 따라 해당 공문이 공개문서로 생성될지, 부분공개 문서로 설정될지 결정됩니다. 또한 앞서 말했듯이 ③의 내용 중 [붙임]과 [첨부 파일명]이 같도록 합니다.

문서의 공개/부분공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이전 포스팅 확인 해주세요.

[돌봄전담사 마스터하기] - 에듀파인 정복기 5 - 공문 공개/부분공개/ 비공개?

⑦ 본문이 완성되었다면 [결재올림]을 클릭하여 상신하고, 아직 미완인 경우 [임시저장]을 눌러 상신을 보류합니다.


드디어 공문 작성 완료입니다! 짝짝짝짝~ 고생하셨어요^^

관련 문서 꼼꼼 체크해주시고, 붙임과 첨부문서 이름 같게 해 주시는 거 신경 써주세요! 

 

그리고 꿀팁 하나! ⑤번처럼 첨부 완료 된 문서를 클릭! 하시면 첨부문서의 내용을 확인 가능합니다. 그리고 이 확인 과정... 업무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꼭 필요합니다.  제목은 맞는데 열어보면 왜 때문에 엉뚱한 내용이 첨부되어 있는 거죠? 이런 일 없을 것 같다구요? 생깁니다 이런 일... 뭐에 씌인날 이상한 일이 벌어집니다 ㅎㅎㅎ 꼭 확인해주세요~

(왜긴요...내가 엉뚱한 문서의 문서 이름 잘못 입력했기 때문이지요 ㅠㅠ)

 

오늘도 고생하셨습니다! 야너두 too!!

 

이 글이 도움 되셨다면
공감 & 댓글 꼭! 부탁드려요~
야 너두 too!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