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돌봄전담사 마스터하기

막막한 공문 작성 요령 알려드려요~

by 야너두투 2022. 10. 7.

안녕하세요!
앞서 공문 작성 방법 말씀드리다가 같이 공유하면 좋을 것 같은 사이트가 있어서 글 남겨봅니다.

공문의 사전적 의미
: 공공 기관이나 단체에서 공식으로 내는 서면

공공기관은 공문을 남김으로써 여러 가지 사업들을 기록·관리합니다. 그리고 국민은 공공기관의 공문 열람을 통해 다양한 사업들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. 저 같은 경우 작성하고자 하는 공문의 목적, 공문을 보게 될 사람을 생각하며 문서 쓰기를 하면 제목이나 내용의 방향을 잡을 때 수월했고 어휘 선택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.

그러다 문득, 내가 작성하는 문서가 어떤 형태로 공개되는지 궁금하더라구요. 공개, 비공개, 부분공개 문서가 열람될 때 어떤 차이를 갖는지도 궁금해서 직접 찾아봤습니다. 그런데... 그게... 순탄치 않더라구요...(제가 부족해서 그런지 어쩐지 몰라도) 우선 어디서 찾아봐야하는지도 모르겠고, 힘들게 사이트를 찾았으나 호락호락 하지 않았습니다. ^^;; 그래서 저처럼 별거 아닌 거에 헤매지 마시라고 포스팅합니다. 아울러! 공문 쓰기 막막할 때! 아주아주 유용한 꿀팁도 알려드리니 끝까지 읽어주세요~


1. 정보공개포털(아래 링크)에 접속해 주세요.

정보공개포털 - www.open.go.kr


2. 정보공개포털 메인> 주제별> 교육 탭 클릭! 클릭!

정보공개포털 메인 화면


3. 검색어, 기관 선택 등 조건 설정 후 검색 클릭! ( But 검색되지 않음 주의-호락호락하지 않은 놈 등장!뚜둥!)

뻔뻔하게...검색된 내용이 없다니 --;;;;

[검색어]도 입력했고, [기관찾기] 해서 근무 중인 우리 초등학교도 잘 찾아서 설정했는데.... 왜 때문에... 검색된 내용이 없다니?!!!! 나한테 왜 이러는데....ㅠㅠ 저... 여기서 시간 많이 뺏겼습니다...


여러분은 저처럼 헤매지 마시고, 다음 단계 봐주세요. 이것 때문에 글 남깁니다.

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 ↓

3. 아주 중요! 집중! 별표 세 개!

얼른 체크 눌러보세요!

[□ 초·중·고등학교 포함]에 체크해주시고 다시 검색 눌러주세요. 현기증 나기 전에 얼른얼른~~!!!!

따라~ 드디어 검색이 됩니다!

짜잔~~ 검색 성공!!!!(이렇게 어려울 일이냐고요...) 맞아요.. 체크를 해야 검색이 됩니다. 분명 내가 [기관선택]에서 우리 초등학교로 잘 찾아서 설정했지만, [초·중·고등학교 포함] 해달라고 다시 한번 체크해 드려야 검색해주시더이다...ㅎㅎㅎ 이제 다 되었어요. 검색된 목록 중에서 원하시는 문서를 클릭해주세요.

4. 본문, 첨부문서 보기

원문정보 상세 피이지

드. 디. 어. 다 왔습니다. 원문정보 상세페이지에서 빨간 네모 부분들 클릭하시면 본문과 첨부파일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담당자명에 본인 이름 뙇! 나오는 거 보셨나요? ㅎㅎㅎ뭔가 부끄럽기도 하고 자랑스럽기도 하고 책임감도 뿜뿜합니다 ㅎㅎㅎ문서를 좀 더 정성 들여 써야겠다 싶고요ㅋㅋㅋ


꿀팁 하나 더! 포스팅 제목과 같이 정보공개포털을 이용하면 공문쓰기가 막막할때 아주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습니다. 어떻게?! 다른 학교 문서들을 검색해 보는 거지요~ ('컨닝'이라 쓰고 '참고'라고 읽는다) 저 같은 경우, 새로운 공문을 만들어야 할때...울 학교 문서대장에서 찾아 볼 수 없어 예시조차 없을 때 활용합니다. 어떻게 써야 할지 갈피잡기 조차 어려울 때, 다른 학교는 어떻게 쓰는지 알고 싶을 때 검색해서 참고해보세요. 선배님들께서 이미 고민하셨고, 열심히 작성하신 귀한 문서들을 편하게 열어보실 수 있습니다. 공개, 부분공개 문서만 열람 할 수 있지만 그래도 막막할때 가뭄의 단비처럼 유용하게 잘 이용하고 있어요. 여러분들도 정보공개포털 누리집 즐겨찾기 해두시고 필요하실 때 유용하게 사용하세요~~
실무자만 알 수 있는 꿀팁 들고 또 올게요!!

이글이 도움이 되셨다면,
공감 & 댓글 꼭 부탁드려요!!
야너두 too!!

댓글